templates내부의 show.html 코드
상기 코드에서 jinja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해도 동작한다. 왜냐하면 test.py에서 Flask로 데이터를 보낼 때 static_url_path에 showimage로 하고 이 값은 static_folder를 의미하므로 jinja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디렉토리의 dog.png파일을 찾을 수 있다.
-----------------아래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img src='showimage/dog.jpg'>
test.py에서 @app.route('/showimage') 의 showimage는 show.html을 호출하기 위해 필요한 이름이다. 동일한 이름을 사용했을 뿐이다.
정적인 파일은 프로젝트 루트 디렉토리(MY_APP)내부에 static이라는 디렉토리에 넣어둔다. 여기서는 static/images란 디렉토리를 만들어 영상을 넣어둠..
Flask로 전달할 때 static_folder(영상이 있는 전체 디렉토리)와 static_url_path를 넘겨준다.
show.html파일 내부에 jinjar에서 url_for를 이용할 때 static이라는 인자는 static_folder를 의미한다.
실행을 시키면
'[WEB 개발] > FLASK_JINJ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상을 yolov3로 검출하고 flask를 이용해 웹에 출력 (1) | 2020.02.07 |
---|---|
Flask & Jinja (0) | 2020.02.05 |